
올해 들어 영국 최대 상하수도 회사인 템스 워터(Thames Water) 가 큰 위기를 맞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간 사모펀드 KKR이 템스 워터 인수를 검토하다가 결국 철회한 사실은, 단지 기업 간의 협상 실패를 넘어서 민영화된 공공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듭니다.
수도 회사가 왜 위기에 빠졌나?
템스 워터는 한때 국가 소유였지만, 1989년 마가렛 대처 정부 시절 민영화된 이후 여러 차례 소유주가 바뀌며 수익 중심의 운영으로 바뀌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오래된 배관 교체나 정수 시설 개선 등 기초 인프라 투자는 줄어들고, 배당과 이자 지급에 더 많은 자금이 쓰였다는 비판도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현재 템스 워터는 약 160억 파운드(한화 약 28조 원) 의 부채를 안고 있으며, 매년 수천 건의 하수 유출 사고와 환경오염 사건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민간 해법의 한계… 정부가 개입할까?
이번에 KKR이 인수를 철회한 이유도 바로 이 구조적인 한계 때문입니다. 템스 워터는 단순히 수익이 나지 않는 회사를 넘어서, 복잡한 부채 구조와 환경 법규 위반 문제, 국민적 감시와 정치적 부담까지 떠안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시장 중심의 해법이 성공하려면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 역시 ‘임시 국유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국가가 한시적으로 회사를 인수해 운영 정상화를 시도한 뒤, 다시 민간에 넘기는 방식을 뜻합니다.
시니어 세대가 주목해야 할 이유
이 사건은 단지 영국의 문제가 아닙니다. 한국에서도 수도, 전기, 철도 등 일부 공공서비스 민영화 논의가 수년째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템스 워터의 사례는 우리에게 분명한 교훈을 줍니다.
공공재는 이윤보다 신뢰가 중요합니다.
물과 전기는 사람의 생존과 직결된 요소입니다. 수익만을 좇다 보면, 필수적인 안전 투자나 유지 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습니다.
노년층의 피해가 더 큽니다.
환경오염, 수도 요금 인상, 서비스 불안정은 특히 건강에 취약하고 고정 수입이 적은 시니어 세대에게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사회 전체의 감시가 필요합니다.
민간이 운영하더라도 시민과 정부가 적극적으로 감독해야만, 공공서비스의 본질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물이 흐르지 않으면, 삶도 멈춘다’는 말이 있습니다. 템스 워터 사태는 그 흐름이 멈추기 직전까지 갔던 민영 공기업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우리 사회의 공공 인프라가 누구를 위한 것인지, 어떻게 관리되어야 하는지를 끊임없이 고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