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02일
3619_6631_812

– 시니어의 고집이 ‘유연한 고집’이 될 때

글을 쓴다는 것은 결국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는 일입니다. 저는 올해 『시니어의 고집, 유연해야 쓸모있어』라는 제목으로 여섯 번째 책을 세상에 내놓았습니다. 50대에 첫 책을 냈고, 이제는 어느덧 60대를 맞이하며, 매번 책을 낼 때마다 마음 한편에는 “이번이 마지막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스쳐갑니다. 하지만 결국 또 써냅니다. 그리고 다시금 배웁니다. ‘꾸준함이야말로 최고의 재능’이라는 사실을 말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런 꾸준함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요? 그동안 여섯 권의 책을 집필하면서 얻은 경험은, 많은 작가들의 글쓰기 습관과도 맞닿아 있었습니다. 시니어 독자 여러분께도 도움이 될만한 그 비결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1. 매일 글을 쓰는 루틴, 나만의 시간 확보하기

하루는 누구에게나 24시간입니다. 하지만 그중 ‘글을 쓰는 시간’은 선택의 문제입니다. 저는 새벽에 일어나 하루 중 가장 조용한 시간에 글을 씁니다. 두세 시간만 집중해도 글은 쌓입니다. 중요한 건 ‘언제 쓸지’가 아니라 ‘언제나 쓰는가’입니다.

2. 목적이 분명해야 오래 갑니다

책을 쓰는 목적은 단순히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는 마음을 넘어서야 합니다. ‘이 나이에 왜 또 책을 쓰시나요?’라는 질문을 들을 때마다 저는 “나를 포함한 많은 시니어들의 생각과 경험이 세상에 꼭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답합니다. 여러분도 반드시 말하고 싶은 ‘무엇’을 품고 계시지 않습니까?

3. 느리게, 그러나 멈추지 않기

시니어가 글을 쓴다는 것은 ‘느림’의 미덕을 제대로 누릴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제 빠르게 무언가를 이룰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천천히, 깊게, 차분히 생각하고 써 내려가는 시간이야말로 진짜 글쓰기입니다. 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매일 한 줄만 써도 책 한 권이 됩니다.

4. 많이 읽고, 자주 메모하기

글은 결국 읽은 것과 본 것을 바탕으로 나옵니다. 저는 여전히 신문을 스크랩하고, 산책 중 떠오른 문장을 스마트폰에 메모합니다. 시니어에게도 디지털 메모는 큰 도움이 됩니다. ‘지금 생각난 그것’을 놓치지 않는 습관이 글감의 보물창고가 됩니다.

5. 완벽하지 않아도 계속 써보기

처음부터 완성된 글을 쓰려는 마음은 글쓰기를 어렵게 만듭니다. 저도 원고 초고를 쓰고 나면 늘 마음에 들지 않아 고치고 또 고칩니다. 중요한 건 ‘지금의 나’를 표현하는 글을 우선 써내려가는 용기입니다.

유연한 고집이야말로 진짜 실력입니다

이번 책 『시니어의 고집, 유연해야 쓸모있어』에서는 우리가 흔히 자랑스러워하는 ‘고집’이 때로는 관계를 막고, 기회를 놓치게 만든다는 점을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그 고집이 ‘경험에서 나온 통찰’과 ‘시대를 읽는 유연함’으로 바뀐다면, 누구보다 지혜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지금 이 순간부터 글을 써보시기 바랍니다. 짧은 글이라도 좋고, 과거 이야기를 떠올리는 것으로 시작해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건 ‘나도 쓸 수 있다’는 자신감입니다.

고집은 버리기보다 다듬는 것입니다. 인생도,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여섯 번째 책을 마치고 저는 이제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책을 동시에 준비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인생의 다음 장을 함께 써보시지 않겠습니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