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10-25-2200

종이(Paper)는 아랍인의 3,000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 기술 혁명 중 하나였으며, 이는 쿠란(Qur’an)의 서면화와 행정 아랍어화에 이어 ‘문자 혁명(writing revolution)’의 세 번째 단계를 완성함으로써 아랍 문명의 지식과 문화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음은 기술 및 정보라는 더 큰 맥락에서 종이의 역할에 대한 논의입니다.

1. 문자 혁명(Writing Revolution)의 완성

아랍 세계에서 종이의 도입은 이전의 기록 매체(파피루스, 양피지 등)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며 정보 확산의 속도와 범위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습니다.

  • 배경 및 도입: 종이 제조 기술은 8세기 후반에 아랍 세계에 전파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751년 탈라스(Talas/Taraz) 전투에서 아랍군이 중국인 제지 기술자들을 포로로 잡으면서 시작되었다는 전통적인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은 더 길고 복잡했을 수 있으며, 이븐 알-나딤(Ibn al-Nadim)은 아마도 우마이야 시대부터 ‘호라산 종이(Khurasani paper)’가 서부 지역에 알려져 있었다고 언급합니다.
  • 유럽보다 앞선 혁신: 후기 8세기, 아랍의 제지술은 유럽이 여전히 양피지 시대에 머물러 있던 시기에 아랍 세계가 앞서 나갈 수 있게 했습니다. 종이의 저렴함과 풍부한 공급은 아랍어 단어와 사상의 분출(an outpouring of Arabic words and ideas)을 촉발했습니다.
  • 새로운 스크립트 개발 촉진: 종이는 기존의 양피지나 파피루스보다 매끄러웠기 때문에, 글쓰기 속도를 높이기 위해 우마이야 제국의 서기관들이 이미 개발했던 새로운 서체의 흘림체 스크립트(rounded form of cursive script)의 발전을 더욱 도왔습니다.

2. 지적 르네상스와 학문 발전의 기반

종이의 확산은 아바스 왕조 시대의 지적 황금기, 즉 아랍 르네상스를 가능하게 한 핵심 기술이었습니다.

  • 번역 운동의 필수 조건: 칼리프 알-마으문(al-Ma’mun)의 후원하에 그리스어, 페르시아어, 산스크리트어 등 고대 문헌을 아랍어로 번역하는 **대규모 번역 운동(translation movement)**이 활발하게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방대한 양의 지식을 기록하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종이의 저렴함과 풍부함이 필수적이었습니다.
  • 산문(Prose) 문학의 등장: 종이의 확산은 지식인들이 운율이나 리듬이 없는 ‘순수 산문(plain prose)’으로 사고하고 기록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표현 형식을 제공했습니다. 이는 아랍어 문학이 시(詩) 중심에서 지식과 사상을 탐구하는 산문 중심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행정과 지식의 보존: 종이는 지식과 행정 문서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보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는 도서관의 성장과 학문적 활동의 폭발적인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종이는 양피지나 파피루스보다 내용을 지우기 어려웠기 때문에, 칼리프 알-라시드(al-Rashid) 시대에 정부 문서에 종이를 사용하도록 명령하여 공문서의 ‘장부 조작'(cooking of the books)을 막으려는 목적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3. 통제와 정보 혁명의 양면성

종이 혁명은 정보의 대량 확산이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정치적 통제와 문화적 고착화를 강화하는 데에도 이용되었습니다.

  • 정치적 통제 수단: 종이의 확산과 글쓰기 혁명은 아바스조 정권이 방대한 제국을 통치하고 통제하는 데 필수적이었습니다. 종이 덕분에 보고서, 재무 기록, 지령 등 행정 문서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정보의 효율적인 흐름은 칼리프가 광활한 제국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문자 혁명의 세 번째 단계: 자료는 아랍 역사에서 문자 혁명을 다음 세 단계로 정리합니다:
    1. 쿠란의 등장: 아랍어를 ‘읽을 수 있고, 볼 수 있는’ 언어로 만들었습니다.
    2. 행정의 아랍어화: 우마이야 칼리프 압둘 말리크가 아랍어를 제국의 행정 언어로 지정하여 아랍어의 지위를 공고히 했습니다.
    3. 종이의 확산: 종이와 새로운 서체의 개발이 결합하여 지식과 정보의 대량 생산 및 보급 시대를 열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종이의 도입은 아랍인의 역사에서 정보 기술의 도약(leap in information technology)을 의미하며, 이는 아랍어의 지위를 단순한 민족 언어를 넘어 전 세계적인 학문과 문명의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로 확고히 하는 데 결정적인 물리적 기반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