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01일
4200_7816_4155 (1)

– 맬서스의 유령과 인구통계학의 기회

전국민이 멜서스(Malthus)의 『인구론』을 외우고, 지키고, 두려워 해

기억하시나요? 1970년대와 80년대 한국사회를 지배하던 경제이론은 『인구론』이었습니다. 그 어떤 경제이론보다 단단하게 뿌리를 내리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덮어 놓고 낳다 보면, 거지 꼴을 못 면한다”와 같은 슬로건의 ‘산아제한 정책’도 힘을 얻었습니다. 인구가 급증하면서 식량부족으로 굶어 죽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미래상이었습니다. 누구도 부인하지 않았고, 시험 문제에 항상 등장하는 주제였습니다.

그에 대한 신념이 얼마나 굳건했던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공식 통계가 있습니다. 1983년에 합계출산율이 2.1 수준을 깨고 인구 수준을 유지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내려감에도 불구하고 13년 동안 변함없이 줄이자는 기조를 전혀 바꾸지 않았고, 1996년이 되어서야 공식적으로 ‘산아제한 정책’은 공식적으로 마무리됩니다. 학자, 전문가, 정부와 공무원은 이 사실을 가장 가까이 현장에서 목격하고 있었음에도 무대응으로 일관하였고, 무지의 수준을 넘어, 오히려 두고 두고 돌이킬 수 없는 업적을 남겼습니다. 이에 대해서 반성해야 하고, 역사는 기억하고 단죄할 것입니다.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늘어난다.”

— 토머스 맬서스, 『인구론』 (1798)

이 말은 인류 역사상 가장 유명하고도 논란 많은 경제학자 중 한 명인 토머스 맬서스(Thomas Malthus)의 이론적 출발점입니다. 그는 18세기 말, 인류는 곧 기아와 빈곤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인간은 빠르게 번식하지만 자원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그의 예언은 수세기 동안 회자돼 왔습니다.

하지만 맬서스의 예측은 틀렸습니다. 

하지만 그는 틀렸습니다. 농업혁명, 산업혁명, 글로벌 무역체계, 의료기술 발전 등으로 인해 세계는 기근이 아닌 ‘잉여의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실제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보고서에 따르면, 1961년 이후 세계 식량 생산량은 인구 증가보다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해 왔습니다(FAO, 2023).

그러나 맬서스의 이론이 전혀 쓸모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그의 통찰은 지금, 정반대 방향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바로 ‘인구 감소’와 ‘노령화’라는 흐름이 세계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저귀의 방향이 말해주는 것

일본 유니참(Unicharm)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내 전체 기저귀 판매량 중 약 60%가 성인용입니다. 유아용 기저귀보다 노인용 기저귀가 더 많이 팔리는 국가. 그것이 지금의 일본입니다. 이 상징적인 변화는 단순한 출산율 저하를 넘어, 인구구조의 급격한 역전 현상을 드러냅니다.

이러한 변화는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납니다. 미국의 노년 부양비(Old-Age Dependency Ratio)는 2010년 19였으나, 2055년에는 39를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은 이미 51(2023년 기준), 독일은 40(출처: Capital Economics, Vicky Redwood, 2024)입니다. 이 수치는 ‘일하는 사람’이 ‘부양해야 할 사람’보다 훨씬 느리게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중국은 이보다 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1980년대 시행된 한 자녀 정책과 평균 수명의 상승, 그리고 출산 기피가 맞물려, 중국의 노년 부양비는 2055년까지 63에 이를 것으로 예측됩니다(출처: UN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이는 미국보다 23포인트나 높은 수치입니다.

맬서스에서 배우는 오늘의 교훈

맬서스는 인구 폭증이 재앙을 부를 것이라 경고했지만, 오늘날은 오히려 ‘인구 절벽’이 경제의 위협 요인입니다. 특히 다음의 세 가지 변화는 중장기적으로 금융시장 전반에 구조적 압박을 가할 수 있습니다:

1. 경제 성장률 둔화

미국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고령화는 향후 수십 년간 GDP 성장률을 매년 0.5%포인트가량 둔화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CBO, 2022년 보고서). 생산성과 소비가 모두 하락하게 되는 구조적 결과입니다.

2. 복지 재정 고갈과 세대 갈등

미국 사회보장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은 연례 보고서에서 사회보장기금이 2034년 완전히 고갈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SSA, 2023). 고령층의 생계와 건강을 위해 더 많은 재정이 소요되지만, 이를 메울 젊은 세대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3. 자본시장에 대한 압력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고령화는 리스크 회피 자산 선호를 강화하고, 위험자산 회피로 이어져 주식시장 수익률을 낮출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McKinsey Global Institute, 2023). 또한, 고령화는 노동력 부족을 야기하며 인건비 상승과 금리 인상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젊은 인구는 미래의 자산?

그렇다면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정답은 ‘신흥국’입니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최근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세계 GDP 성장의 약 65%는 개발도상국에서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멕시코, 나이지리아 등은 여전히 유리한 인구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젊은층 비중이 높아 생산가능 인구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인구의 문제가 아닙니다. 소비 증가, 부동산 수요, 인프라 확장, 기술 확산 등으로 이어지는 경제성장의 씨앗입니다. 게다가 이들 신흥국의 자산 가격은 미국 대비 30~50% 수준에 불과해, 장기 투자자에겐 ‘저평가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Bloomberg, 2024년 신흥시장 보고서).

그러나 멜서스가 믿겼지만 틀린 것처럼, 그 어떤 무엇이 미래를 바꿀지 확신하는 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그래도 인구 구조는 금융의 원심력

우리는 자주 경제를 숫자와 그래프로만 해석하려 합니다. 그러나 경제는 결국 사람입니다. 누가 일하고, 누가 소비하며, 얼마나 오래 살 것인지가 경제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기저귀는 조용한 신호입니다. 그러나 이 신호를 듣고 대응하는 자만이 금융시장에서 생존하고, 더 나아가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맬서스의 유령은 아직도 우리 곁에 있습니다. 단지, 그 모습이 바뀌었을 뿐입니다. 그는 과잉 인구를 경계했지만, 우리는 지금 ‘인구 부족’이라는 새로운 위기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
참고문헌 목록

1. Malthus, T. R. (1798).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London: J. Johnson.

2. FAO (2023).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2023.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fao.org

3. Unicharm Corporation (2020). Annual Investor Relations Report: Aging Market Trends. Tokyo, Japan.

4. Capital Economics – Redwood, V. (2024). The Demographic Cliff: How Aging Populations Threaten Global Growth. Capital Economics Research Briefing.

5.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22).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Summary of Results. New York: UN DESA. https://population.un.org/wpp

6. Congressional Budget Office (CBO) (2022). The 2022 Long-Term Budget Outlook.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https://www.cbo.gov

7.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SSA) (2023). Annual Trustees Report Summary. U.S. Social Security Board of Trustees. https://www.ssa.gov/OACT/TR/2023

8. McKinsey Global Institute (2023). The Silver Economy: Aging and the Global Workforce. McKinsey & Company.

9. World Bank Group (2024). Global Economic Prospects: Opportunities in Emerging Markets.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https://www.worldbank.org

10. Bloomberg Markets (2024). Emerging Markets Outlook: Undervalued Assets in Demographic Growth Zones. Bloomberg Intelligence Research Brief.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