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사이트, AI 기반 검색을 위한 데이터 소스로 재편 중
불과 몇 달 사이, 인공지능(AI)은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는 방식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일부 마케터들에게는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검색 엔진인 구글이나 빙(Bing)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은 AI가 생성한 요약 결과로부터 정보를 얻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검색 후 해당 웹사이트를 실제로 방문하지 않고도 원하는 정보를 얻게 되는 것이지요.
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이용해 직접 질문을 입력하고 응답을 받는 방식이 보편화되면서, 마케터들은 점차 사용자 트래픽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수백만 개의 사이트들은 검색 엔진 최적화(SEO)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으며, AI에 의한 검색 흐름에 대응하고자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메일침프(Mailchimp)’는 이미 몇 년 전부터 AI 보조 검색이 사이트 방문 없이도 제품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트래픽 감소를 겪고 있다고 합니다.
엘렌 마메도브(Ellen Mamedov) 메일침프 글로벌 검색 책임자는 “우리는 검색 엔진 최적화에서 AI 최적화(AIO)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대응해 메일침프는 이른바 ‘피드’로 불리는 데이터 세트를 만들어, 챗GPT나 구글 제미니(Gemini)와 같은 AI 플랫폼이 이 데이터를 학습하고 응답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요소에는 인기 콘텐츠 링크, 페이지 로딩 속도, 코드 구조, AI에 친화적인 구조 등이 포함됩니다. 이는 AI 기반 검색 결과에서 자사 웹사이트가 잘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AI 챗봇은 정보를 최대한 빠르게 흡수해 사용자에게 정답을 제시하려고 하며, 이는 인간이 정보를 수집하는 속도보다 훨씬 빠릅니다. 마메도브는 “AI가 우리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하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소비자 행동 연구기관인 ‘베인앤컴퍼니(Bain & Co.)’는 AI 추천 엔진이 소비자 취향을 반영하여 제품 탐색을 돕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이제 대화형 검색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더 이상 전통적인 키워드 검색보다 자연어 대화방식을 선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베인의 조사에 따르면, AI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의 42%는 AI를 상품 추천이나 리뷰 검색 등에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백마켓(Back Market)’이라는 전자기기 중고 플랫폼의 최고마케팅책임자인 조이 하워드(Joy Howard) 역시 “소비자들이 챗GPT를 통해 바로 쇼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도전 과제입니다”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챗GPT를 통한 방문 트래픽은 전체의 0.2% 수준이지만, 이는 6개월 전보다 470배 증가한 수치이며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백마켓은 제품별 상세 페이지 최적화에 집중하면서, 사용자가 챗GPT 등을 통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개선하고 있습니다.
오픈AI에 따르면, 챗GPT는 매일 10억 개의 검색을 처리하고 있으며, 이는 구글이 처리하는 하루 검색량인 5조 건에 비하면 아직 미미한 수준입니다.
그러나 최근 조사에 따르면, AI에 정보를 제공하려는 기업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AI 기반 검색도 점점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마케터들은 아직 큰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을 수 있지만, 이 변화는 장기적으로 브랜드의 디지털 전략을 완전히 바꿀 수 있습니다.
조이 하워드는 “지금은 크지 않아 보이지만, 분명 커질 겁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