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六世 貞 官 郞將 (英의 次男, 長男 就第는 進士) ●고려 고종 10년 서기 1233년에 사마 진사 등제하고 고종 40년 서기 1253년에 낭장(郎將: 고려시대의 정6품의 무관직, 중앙군조직에서 중랑장 바로 아래...
역사
十五世 英 一一九○年高麗明宗庚戌生戶長中郞將 配仁川李氏父平章事文忠公壽祖平章事預外祖侍中崔惟善 (希有의 獨子) ● 서기 1190년 고려 19대 명종(재위: 1170년~1197년) 경술년에 태어나셨다. 호장(戶長), 낭장(郎將)에 오르시다. 고려 20대 신종(神宗, 재위 1197년~1204년)조에 도적 극성으로 나라가 혼란할 때 잘...
十四世 希有 進士 (錫의 獨子) 강릉김씨 14세 김희유 진사 어르신의 존귀하신 일대기: 12세기 고려 문치주의 황금기의 재조명 I. 서론: 강릉김씨 진사 김희유 어르신의 일대기를 기리며 A. 보고의 목적과 문헌적...
十三世 錫 (1119년 ~ ?) 一一一九年高麗睿宗己亥生官郞將 ◎ 김석(錫), 강릉김씨 13세손. 守文의 次男, 長男 광순(光純)은 호장(戶長) ●서기 1119년 고려 예종(睿宗) 14년 기해(己亥)년에 태어나셨다. 문무를 겸비하셨고 무과에 급제하여 충용위(忠勇衛) 별장(別將)과 낭장(郎長)에...
十二世 守文 (甫의 獨子) 戶長, 官 堂大等, 法 摠郞 ◎ 김수문(守文), 강릉김씨 12세손으로 아버지 김보(甫)의 독자(獨子) ● 호장(戶長), 당대등(當大等)을 역임하시고 총랑(摠郞)에 오르시다. 강릉 김씨 김수문(金守文) 공의 일대기와 고려 후기 격변의...
十一世 甫 (1015년 ~ ?) 戶長, 一品別將 一○一五年高麗顯宗乙卯生 ◎ 김보(甫), 강릉김씨 11세손으로 아버지 김방감(方鑑)의 독자(獨子) ●서기 1015년 고려 8대왕 현종(懸宗) 을묘(乙卯)에 태어나심. 문무 겸비하여 무관으로 출사하여 일품별장(一品別將), 대장군에 오르시고,...
十世 方鑑 戶長, 保勝別將 ◎ 김방감(方鑑), 강릉김씨 10세손으로 아버지 김소(召)의 독자(獨子) ●호장(戶長), 보승별장(保勝別將, 홍위위의 보승 7령 중 정 7 품에 해당하는 고려시대 관직, 한 군대에서 부지휘를 맡고 있는 무관직,...
九世 召 (978년~?) 九七八年高麗景宗戊寅生 戶長 權梅軒 愚曰 麗 太祖時 掌民者 謂之 將校 “서기 978년, 고려 제5대 경종(景宗) 10년 무인년(戊寅年)에 태어나셨으며, 호장(戶長)이셨습니다. (이에 대해) 권매헌(權梅軒)이 삼가 말씀드리기를, 고려 태조(太祖) 때에는...
八世 奇禮 戶長 官 正 朝靖大夫 衛尉 寺卿 ◎ 김기례(奇禮), 강릉김씨 8세손으로 아버지 김춘용(春用)의 차남(次男) (春用의 次男, 長男 宏甫는 奉御) 호장(戶長)과 조정대부(朝靖大夫), 위위시(衛尉寺)의 경(卿)에 이르시다. 강릉 김씨 7세손 김춘용...
七世 春用 官 豊州兵馬使 兼 安集監倉使 ◎ 김춘용(春用), 강릉김씨 7세손으로 아버지 김식희(式希)의 장남(長男) (式希의 長男, 次男 肯用은 戶長) 풍천(豊州) 병마사(兵馬使) 와(兼 겸) 안집(安集) 감창사(監倉使)를 지내시고 환제(還第 고향으로 돌아옴). 부친의...
六世 式希 始仕麗朝開府儀同三司事三韓壁上功臣三重大匡太師新羅朝慶州淸道雲門寺近處軍士養兵新羅朝廷守護中敬順王而麗朝附歸後神劒擊滅之功三重大匡太師溟州事審官高麗統一殿功臣閣配享始仕麗朝官開府議 同三司事三韓壁上功臣太師 三重大 太師 ◎ 김식희(式希), 강릉김씨 6세손으로 아버지 영진(英珍)의 독자(獨子) 강릉 김씨 6세 김식희 장군 일대기 김식희(金式希) 장군은 강릉 김씨 시조이신 명주군왕(溟州郡王) 김주원(金周元)의 6세손이시자 대내마(大內麻) 영진(英珍)...
五世 英珍 官 大奈麻 ◎ 김영진(英珍), 강릉김씨 5세손으로 아버지 김동정(東靖)의 장남(長男) (東靖의 長男, 次男 英吉은 大奈麻, 三男 英堅은 大奈麻) 관직(官職)으로 대내마(大奈麻)에 오르시다. 격동하는 신라 말, 가문의 기대를 짊어지시다 강릉...
四世 東靖 官 大奈麻 憲安王四年庚辰以員外郞爲泰山郡太守景文王元年壬午爲翰林郞七年丁亥以奈麻仵上大等魏弘罷歸己丑詔拜太學監大舍尋拜武靈郡太守進爲大奈麻 ◎ 김동정(東靖), 강릉김씨 4세손으로 아버지 김신(身)의 독자(獨子) 서기 860년 신라 47대 헌안왕(憲安王) 4년 경진(庚辰)에 원외랑(員外郞), 태산군(太山郡, 현 정읍시) 태수(太守) 서기 861년 신라 48대 경문왕(景文王)...
三世 紫絲 官 大奈麻, 東京雜記云 奈者人君之稱 官大奈麻東京雜記奈者人君之稱 開城四年己未正月與侍中陽定金明之亂迎祐徵立之是爲神武王是年三月以舍知爲嵩善都太守以重奈麻陞大奈麻以病免位卒于溟州 ◎ 김자사(紫絲), 강릉김씨 3세손으로 아버지 김신의 독자(獨子) 관직으로는 대내마(大乃麻)를 맡으심. 동경잡기(東京雜記)에는 인군(人君, 백성의 임금)이라고 불렸다. 신라 42대 흥덕왕(興德王, 제위 826년 ~...
謚憲忠公 哀莊王七年丙戌正月以沙湌爲大阿湌秋八月奉使如唐賀卽位憲宗賜宴于延英殿仍加衛尉卿還之丁亥拜坡珍湌出爲溟州都督又移漢山州都督憲德王庚寅伊飡甲午十二月退居溟州壬寅春聞憲昌之變至京都率兄子貞茹璋如等詣王宮張雄均貞等入朝言曰憲昌之罪實非先王讓國之本心而管蔡敦含之叛有非周公王導之所能逆料也言甚切直王深然之遂拜將軍使守京都興德王元年丙午拜太大角干兵部令內省私臣皆不受因卒于家王以爲角干身家有禍亂而盡忠王室退而不仕其情可悲特倣興武王庾信故例賜賻祭諡曰憲忠 ◎ 김신(金身). 강릉김씨 2대손으로 아버지 주원의 3남, 김헌창의 형 (周元의 三男, 一男 宗基는 郡王, 二男 憲昌은 都督) 서기 806년 신라 40대 애장왕(哀莊王) 7년 병술(丙戌) 사찬(沙飡)에서 대아찬(大阿飡)에 오르시고...
溟州郡王 (新羅 太宗武烈王 五世孫, 分封王) 溟州郡王惠恭王十年甲寅秋九月公以迎湌爲伊湌十二年丙辰十月拜侍中十六年庚申二月爲角干後轉兵部令溟州郡督舒弗邯等官宣德王三年癸亥七月以兵部令兼掌十二幢精兵幾六萬人唐德宗貞元元年乙丑卽新羅元聖乙丑年正月十三日宣德王薧而無嗣群臣以母太后命議欲立公爲嗣時公宅於京北二十里會閼川漲不得奉迎議者曰人君大位有關天命固非人謀所及今日暴雨天其或不欲立周元乎乃迎上大等金敬信立之是爲元聖王旣而雨止公以單騎入臨喪元聖讓位于公公固讓不受退居溟州不復朝請後二年元聖念公退讓之德乃曰角干周元本有繼嗣之望及未立也無怨爭之心而有揖遜之德不可孤也特封爲溟州郡王追尊三世賜其母朴氏溟州蓮花夫人之號割溟州今江陵翼嶺今襄陽斤乙於今平海三陟蔚珍等官爲食邑子孫固以溟州爲貫是爲溟州今江陵五世孫女玉慶大主爲麗太祖妃而故溟州宮人苗氏年二百歲隨入宮對麗祖言溟王揖讓之事太祖曰此可謂百世師命題其廟曰萬歲祠宇使爲不遷之主后孫梅月堂時習有詩曰元聖周元相讓時北川霖雨漲無涯夷齊泰伯那專美千載江陵有舊祠陵在江陵府三十里城山面三旺陵谷甲坐後爲失傳後孫添慶以本州府使開壙至底見有白缸盛骸遂誌曰郡王之保富貴數世不絶者非有至德而能之乎殆與泰伯封于荊蠻同跡而所處之地則尤有難言云焉后孫判書尙星以本道觀察使立碑時享每年四月二十日惟我江陵金氏之分自溟州王爲始故稱一世妃貞淑王后朴氏 명주군왕 (신라 태종무열왕의 5세손, 분봉왕) 1. 김주원 공의 관직 및 생애 김주원(金周元) 공께서는 혜공왕(惠恭王) 10년 갑인(甲寅, 774년) 가을 9월에 영찬(迎湌)에서 이찬(伊湌)으로 승진하셨습니다. 12년...
시조 명주군왕은 신라김씨의 시조 알지(閼智) 대보공의 21세손으로 신라 37대 선덕왕이 후사없이 서기785년에 승하하여 당시 시중겸 병부령(지금의 국무총리겸 국방장관)인 주원(周元)공을 왕위에 오르도록 군신회의에서 결의하였으나 주원공의 저택이 경도의 북쪽 20리에 있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