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5일

kimhyeongrae

– 団体(だんたい, 단타이; 단체) ‘団体(だんたい, 단타이; 단체)’란 일본어로 ‘집단(集団, group)’ 혹은 ‘조직체(organization)’를 뜻합니다. 그러나 일본 사회에서 이 단어가 가지는 의미는 단순히 여러 사람이 모인 무리가 아니라, ‘개인보다 집단이 우선한다’는...
– 武士道(ぶしどう, 부시도우; 무사도, ) ‘Bushido(부시도우)’, 즉 ‘무사도(武士道)’는 일본인의 전통적 도덕관념의 근본이 되는 개념입니다. 문자 그대로 ‘무사의 길’을 뜻하는 이 단어는, 12세기 무렵 일본 봉건시대의 무사계급(사무라이) 속에서 형성되어 오랜...
– 平等(びょうどう, 비요도우; 평등; Japanese-Style Fairness) ‘びょうどう(비요도우)’, 즉 ‘평등(平等)’의 개념은 서양에서 비롯된 사상으로, 이는 “모든 인간은 신 앞에서 평등하다”는 기독교 신학적 믿음에서 발전한 것입니다. 물론 어느 사회의 역사에서도 모든...
– 阿吽の呼吸(あうんのこきゅう, 아운노 코큐; 아운의 호흡) 일본 문화에서 가장 놀랍고 흥미로운 특징 중 하나는 비언어적(非言語的) 의사소통의 지배적 역할과 중요성입니다. 헤이안 시대(794–1192)의 말기, 즉 막부 정부가 세워지던 시기에는 상류층 사이의...
다양한 방언에도 불구하고 통일된 서면어(written language)를 유지함으로써, 아랍인들의 3,000년 역사 속에서 정체성 확립, 문화적 통일, 그리고 문명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 통일된 서면어는 아랍 공동체의 결속력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 当たり前(あたりまえ, 아타리마에, ‘말할 필요도 없는 것’; It Goes Without Saying) 일본처럼 동질성이 강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되며, 오랜 역사를 지닌 문화에서는 자연스럽게 모두가 ‘당연하게 여기는 일’(atarimae)이 많습니다.이 개념은 일본 사회 전체가...